중점테마연구소
중점테마연구소 소개
총괄과제D
탄소중립 친환경 물질·에너지 융복합연구
총괄과제D (탄소중립 친환경 물질·에너지 융복합연구)
에너지 생산-저장-순환 전 과정에서의 환경 영향 완화를 위한 지구환경 및 생물종 특성 활용 탄소중립 특화 기술 개발
연구과제명 탄소중립 친환경 물질·에너지 융복합연구
총괄 책임자
장이랑 / LAMP전임교원
연구분야 (세부분야) 지구/지질과학 (구조지질학)
연구목표 탄소중립 실현을 통해 지속 가능한 미래 사회를 준비하기 위한 친환경 에너지의 생산, 저장 및 순환에 관련된 물질-에너지 융복합 연구 수행
연구 내용
연구내용의 창의성 탄소중립 기술 개발에 지구환경 및 생물종 특성을 활용한 환경친화적 접근을 시도하여, 에너지 생산-저장-순환 전 과정에서 환경 영향을 완화 시킬 수 있는 특화 기술 개발을 위한 융복합 연구를 수행하고자 함
총괄과제의 주요 연구내용 기재
· 장기적 지구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한반도 고유의 지질환경 특성 파악 및 지각 진화사 규명
· 기후변화에 민감한 염습지 및 해양 환경 특성의 탄소중립에 대한 기여도 평가
· 생물 특성을 활용한 저탄소 친환경에너지(수소 등)의 생산 기술 개발
· 친환경에너지로의 전환에 핵심적인 전략광물 개발 잠재성 파악
· 생물종 활용 친환경 탄소 포집 기술 개발
· 탄소 지중저장을 위한 국내 심층 환경의 지질학적 평가 기술 확보
세부 연구과제별 주요 연구내용
D-1
장이랑 교수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지하지질구조의 탐사체계 고도화 연구
한반도 고유 지질학적 특성을 반영한 지하지질구조 탐사 기술 개발 및 국내 심층 환경의 지질학적 평가기술 확보 연구
D-2
이동훈 교수님
다양한 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에너지 확보 연구
다양한 생물들로부터 에너지 관련 특성 연구 및 수소 등 친환경에너지 확보로 연결하는 연구
D-3
이병춘 교수님
청정에너지 전환을 위한
기반암 핵심광물 개발 가능성 연구
한반도의 시대별 지구조진화과정 해석을 바탕으로 한 청정 광물 에너지 자원 형성과정 규명과 개발 잠재성 파악
D-4
서준영 교수님
기후변화 대응 염습지
해수유동 교란· 퇴적물질 포집 연구
생물-물리학적 교란효과가 조간대 퇴적물질 거동에 미치는 영향 파악
기대효과
01
연구개발성과의 기대효과
· 높은 학문적/실용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탄소중립 분야 친환경 물질·에너지 융합에 관한 원천기술 확보에 기여
· 핵심전략광물 및 친환경에너지 자원의 국내 부존가능성 파악에 따른 경제적 효과
· 친환경적 탄소 포집·저장 기술 개발을 통한 기후변화 관련 환경문제 해결
· 탄소중립 관련 규제 및 법규 제정 및 정책 수립에 대응할 수 있는 과학적 기초자료 제공
· LAMP 포닥 및 학생연구원 간의 긴밀한 공동연구를 통해 세계적인 탄소중립 분야 기초 과학 인력을 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