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점테마연구소
중점테마연구소 소개
중점 테마 연구소 소개
중점 테마 연구소 지정
물질ㆍ에너지 분야 중점 테마 연구소 설립의 당위성
중요성
물질과 에너지 사용의 효율성 극대화 연구를 통한 지속가능한 인류의 활동 해법 제시
신규성
원리탐구에 치중된 기초과학 연구를 기초과학 융복합공동연구소 설립을 통해 고차원적인 목적지향적 연구로 패러다임 전환
적합성
‘인류 활동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본질적인 문제 해결 역량 보유
- 에너지 전환 및 친환경 에너지 시스템의 구축에 적합한 지리‧환경적 특성 보유한 광주전남
- 지역 내 에너지밸리의 연구기관, 기업과의 연계를 통한 첨단 에너지 기술 개발 및 혁신 잠재력 보유
- 다각적이고 복합적인 융합 연구 가능한 기초과학분야(물리, 화학, 수학, 통계, 지구 환경, 생물, 생명과학 등) 102명 교수 보유
- 농업생명과학대학, 수산해양대학, AI융합 대학 등 다학제 기반 학문생태계를 활용한 융복합 연구 가능
대학 보유 인프라
‘인류 활동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본질적인 문제 해결 역량 보유
- 물질에너지 분야 선도연구센터(3), 중점연구소(2)
- 여수 탄소중립지원센터 반도체 공동연구소, 반도체 특성화 대학
- 이차전지특성화대학
- 빛그린 산단 내 광주산학융합원
지역보유 인프라
‘인류 활동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본질적인 문제 해결 역량 보유
- 광주전남에너지산업융합복합단지
- 여수 탄소중립화학공정실습센터 조성사업
- 에너지밸리 강소 연구개발특구
- 광주 미래차 국가산업단지
- 에너지밸리, 에너지밸리기업개발원
- 광주 미래차 소부장 특화단지
- 광주 인공지능융합집적단지조성사업
- 광주경제자유구역 스마트에너지산업지구
- 녹색에너지연구원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한국전력공사 및 자회사
- 광주기후에너지진흥원
- 전남 탄소중립 전환 재자원화 실증지원센터
중점 테마 연구소의 공동연구 추진을 위한 연구과제 관리 계획
중점 테마 연구소 중장기 발전 로드맵
세계적 수준의 기초과학 공동연구소로 성장하기 위한 다각적인 중장기 추진 전략
01
교육/인력 양성 프로그램 구축
- 융복합적 연구를 위한 대학원 교육 개편 및 교과목 신설 / 개설
- 포닥연구원을 활용한 대학원생 멘토링 및 코칭 프로그램 운영
02
산학연 연계프로그램 구축
- 기술 혁신과 연구개발 촉진을 위한 혁신적인 산학협력 연구 프로젝트 추진
- 산업체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한 기초 연구 및 적용 가능한 기술력 확보
- 산업체와의 협력 연구소 운영
03
국내외적 공동연구 연계프로그램 구축
- 국내외 교류 및 협력 강화
- 국제화된 교육과정 및 학습환경 강화
04
지자체 및 정부 협력 프로그램 구축
- 세계적인 RE100 국제 협약에 따른 경제 및 에너지 안보와 같은 주요 물질 에너지 정책안 제시
- 정부의 정책 목표에 부합하는 연구 주제 수행
05
연구소내의 과제별 국내외 공동연구 계획 확립
- 총괄과제별 세부과제들의 국내외 공동연구 계획 구체화
- 연구소내의 총괄과제별 간 연구협력 및 혁신적인 국내외 공동연구 계획 구성
다학제 간 공동연구 추구
물질 ∙ 에너지
연구 추진
- 다양한 학과 ∙전공의 연구 참여
- 5가지 핵심 전략을 바탕으로 LAMP 전임교원을 구성
- 소규모 보다 중/대규모 총괄과제로 조직
연구 결과 극대화
- 1단계 : 5개 총괄 핵심주제 중심의 기초연구 수행
- 2단계 : 전임교원별 융합연구 추진
- 국내외 공동연구 필수